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관계의 심리학] 내키지 않아도 다수를 따른다.

by 일취올짱 2021. 12. 30.
반응형
회의나 모임에서 마음에 들지 않는 결정이 내려지는 것을 묵묵히 지켜보아야 했던 경험은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 더구나 어떤 의견이나 결정을 압도적인 다수가 지지하는 듯이 보인다면, 그것들이 아무리 불합리하게 보이더라도 반대 의견을 내놓는 것 자체가 망설여진다. 그러다 보면 '좋은 게 좋은 거지'라고 자기 위안하면서 잠자코 있기 마련이다. 결국 내키지도 않는 불합리한 결정을 묵묵히 따라가야 하는 처지가 되고 만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내키지도 않으면서 따르는 것을 보통 비자발적 동조라고 불러, 스스로 납득하여 의견을 수용하는  자발적 동조와 구분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런 식의 비자발적인 동조는 일상생활에서 너무나 흔히 일어난다. 자신의 의견을 집단 압력에 의하여 바꾸어야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는 이야기이다. 사실 이런 동조가 없다면 우리 생활이 대단히 각박해진다. 각박해지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안 굴러갈지도 모른다.
 가령 점심 메뉴 선택할 때를 생각해보자. 각자가 자기 먹고 싶은 것만 우겨대면 대책이 안 선다. 밥 굶기 딱 좋다. "김치찌개 어때?라고 한마디 해 보았다가 반응이 시원치 않으면 다수인듯한 의견에 대강 따라가야 밥도 안 굶고 까칠한 사람이라는 소리 안 듣는다. 가정에서도 사사건건 자기주장만 하다가는 버림받기 딱 좋다. 못 이기는 척 넘어가야 좋은 남편, 좋은 아빠 소리를 듣는다. 세상이 이런 식이다 보니, 자기와 크게 관련되지 않는 문제에 대해서라면 사람들은 대충대충 동조하고 사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사회적으로 고립되지 않고 사회생활을 하는 사람들이면 누구나 동조 성향이 강하기 마련이다.
우리의 일생생활에서 벌어지는 동조도 아마 비슷한 이유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혼자서 올바른 소리를 해서 주목을 받느니 잠자코 있는 편을 택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하지만 사람은 각양각색이라 이와는 전혀 다른 반응을 보여주는 사람들이 있다. 이른바 반동조 성향이 강한 사람들의 경우이다.
 반동조란 무엇이든 집단이 권하는 것과 반대되는 생각을 말하거나 반대되는 행동을 취하는 것을 말한다. 반동조 성향이 강한 사람들은 사적으로는 집단의 결정에 동의하지만 정작 공적인 장면에서는 반대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이른바 반대하기 위해 반대하는 사람들이다. 비동조는 반동 조와 달리, 사적으로도 공적으로도 반대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이 세 가지 유형의 동조에서 반동조가 가장 골치 아프다. 동조의 경우에는 동조한 본인의 마음에는 거슬리는 것이 있겠지만 적어도 집단의 화목은 유지된다. 비동조의 경우에도 나름대로 이유가 있어 반대를 한 것이니 일관성이 있어 뒤탈은 없다. 반동조의 경우에는 뒤에 가서 딴소리를 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자기는 그렇게 생각하지만 집단이 한 번 더 생각해볼 기회를 갖기 위해 반대했다는 식으로 이야기하기 때문이다. 결국 집단이나 관계에 문제를 가져다주는 사람은 비동조 유형이 아니라 반동조 유형인 것이다.
 우리가 내키지도 않는 다수의 결정을 따르는 것을 어쩔 수 없는 면이 있다. '모가 난 돌이 정을 맞는다'라는 속담처럼 집단에서 튀지 않는 것이 미덕이라는 식으로 배우고 자라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불만인 결정에 매번 따라가는 것은 별로 바람하지 않다. 이러한 것들이 거듭되다 보면 정신건강을 해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끔은 다수의 결정에 이의를 제기하는 식의 행동도 반드시 필요하다. 다수가 항상 옳은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관계의 심리학 中 이철우

 

20여년 직장생활에서

비자발적 동조였던 나의모습에 

이 글을 올렸던 계기가 되었네요.. 

사실 좋은게 좋은거다 했었고...불만이 더 쌓여서 정신건강에도 좋지 못했던거 같아요..

정말 가끔은 다수의 결정에 이의를 제기하는 내 의견도 행동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좋은 밤 되세요^^